2016년 4월 11일 월요일

건전한 경쟁 - 316 Ti 티타늄

316 Ti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은 주방용기 재료로서 두말할 나위 없이 아주 훌륭한 재질이다. 특히 부식과 화학반응에 대한 면역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탁월해서 같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라도 따라오지 못할 정도이다. 값이 비싼 게 흠이지만 아주 오래 쓰는 만큼 건강비용까지 집어넣고 따지면 오히려 비싼 게 아닐 수도 있다.



316 Ti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은 300 시리즈 스테인레스 스틸에 속한다. 거기엔 가장 널리 쓰이는 304도 있고, 316L이나 316H도 있다. 모두 좋은 재질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16 티타늄을 만든 이유는 물론 그들보다 더 나은 소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316 Ti 티타늄 SS는 철, 망간, 몰리브덴, 니켈, 크롬, 티타늄 등 11 종류 이상 금속의 합금이다. 기준치인 UNS S31635가 있고 제철회사마다 약간씩의 변형을 가해 나름의 제품을 만들지만,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면 재질의 성질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무시할 정도의 차이만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B사가 쓰는 316 Ti 티타늄은 A사가 쓰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 오히려 티타늄 자체는 A사 것에 더 많이 들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사 판매원들은 A사 제품을 헐뜯고 다녔다. 재질이 나쁘기 때문에 가격이 싸다는 것이었다. 참다 못한 A사는 독립적인 연구기관에 두 소재의 분석을 의뢰했고, 별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는 연구소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결국 B사는 근거 없는 비방을 중지해야 했다. 회사 규모가 훨씬 더 큰 A사가 사용하는 소재도 당연히 세계적인 철강회사의 최고급 제품으로서 A사로서는 오히려 자기네 소재가 더 우수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는 것이었다.



기업이 자사 제품의 소비자 가격을 낮게 책정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홍보를 위해서, 시장진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박리다매 경영철학에 따라서, 혹은 아주 잘 팔리고 있는 데 대한 감사의 표시로 보상차원에서 등등 다양하다. 가격이 높으면 무조건 더 좋은 제품이라는 식의 억지 주장은 해외직구까지 하는 현명한 현대 소비자에겐 잘 스며들지 못하는 구식 사고방식이다. 위의 사례에서는 A사가 매출액이 더 큰 회사로서 신제품 개발을 활발하게 하면서 소비자를 고려해 가격을 낮게 책정했을 뿐 재질, 디자인, 제조공장 등 어느 면에서든 스스로의 판단으로는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경쟁사가 있다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선의의 경쟁을 통해 기존 제품을 개선하고 신제품을 활발하게 내놓으며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의 범위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소비자에게만 이익이 되는 게 아니다. 회사 직원들도 배울 게 많아지고 자긍심도 키울 수 있어서 건전한 경쟁이 있는 게 여러 모로 득이 된다. 근거 없는 비방으로 당장의 이익은 볼 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현명한 소비자의 판단에 따른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이젠 거의 모든 정보가 오픈 되어 있는 세상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정직이 최상의 방책(Honesty is the best policy.)이라는 미국속담은 국경을 넘어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지혜이다.

유기농식품은 논란 거리?

유기농식품의 인기가 높다. 더 건강하고 더 안전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렇게 믿는 게 당연한 것 같다. 미국에선 1997년 36억 달러에 불과하던 유기농식품 소비가 2011년 244억 달러로 치솟았다.

그러나 하바드 의대 미셸 하우저(Michelle Hauser) 박사는 “유기농식품이 건강과 안전 면에서 더 좋은 건지는 오랜 논란거리”라고 말한다. 아니, 왜?

유기농식품을 찾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농약이나 살충제 없이 재배하고 항생제나 성장호르몬 안 먹이니 더 안전할 거다. 둘째, 전통재배식품보다 더 높은 영양가를 지닐 테니 더 건강할 거다. 셋째, 환경보호와 오염방지에 기여하니까 좋은 일이다. 이렇게 좋은 이유들이 있는데 왠 논란?

유기농식품의 혜택이 뭐냐고 질문하는 환자들에게 이렇다 할 대답을 해주지 못하던 스탠포드 대학교 건강정책센터의 데나 브라바타(Dena Bravata) 박사와 팔로 알토 건강관리시스템의 크리스탈 스미스-스팽글러(Crystal Smith-Spangler) 박사는, 전통농법과 유기농법을 비교 분석한 논문 수천 개를 뒤져 그 중 연관성이 큰 논문 237개를 추려 집중 분석하였다. 장기연구는 없었고 이틀에서 2년 사이의 단기 연구만 있었는데, 식품을 섭취한 사람들을 비교 분석한 논문이 17개였고 나머지는 식품의 영양분과 오염 등을 비교한 논문들이었다. 큰 기대를 가지고 엄청난 양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의외로 두 식품 사이에 별다른 건강 혜택 차이가 없더라는 것이었다. 인이 유기농식품에 현저히 더 많을 뿐 비타민이 특별히 유기농식품에 더 많은 것도 아니었다. 인 결핍환자는 거의 없기 때문에 그나마 중요한 차이가 되지도 못했다. 단백질이나 지방질의 차이도 유기농우유와 전통우유 사이에서 찾을 수 없었다. 소수 논문에서 유기농우유에 오메가3 지방산이 현저히 더 많이 들어 있다는 걸 발견했을 뿐이다. 비록 유기농식품이 전통식품보다 30% 정도 살충제 오염이 적었지만 그렇다고 유기농이 살충제 오염에서 완벽하게 벗어난 것은 아니다. 또 모든 식품이 살충제 허용치만큼 세척되어 판매되고 있다고 연구원들은 지적했다. 유기농식품과 전통식품을 먹은 아이들의 소변을 검사하니 유기농식품을 먹은 아이의 소변에서 살충제 잔류량이 적었지만 그것이 아이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불명하고, 유기농 닭이나 돼지에서 내항생제 박테리아가 적게 발견되었지만 그 역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불명하다.

결국 맛의 차이라든가 지구 환경에 대한 염려, 동물에 대한 배려 등의 이유로 유기농식품을 사는 건 좋은 일이지만, 건강이나 안전에 대한 과신은 피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환경주의자이자 코펜하겐 경영대학원 교수인 비욘 롬보그(Bjorn Lomborg)는 2012년 뉴욕타임스 기고문에서, 비싼 유기농 채소와 과일을 먹느라고 섭취량을 줄이느니 값싼 보통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는 게 훨씬 좋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유기농사과를 먹느라 20년에 보통 사과 한 개를 줄이는 것이 건강에 더 나쁘다고 말하면서. 농약에 대한 제재는 이미 철저히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크게 염려할 바 못되며, 채소와 과일의 섭취량을 조금이라도 줄이는 건 건강을 해치고 암 발생률을 크게 높인다고 롬보그는 주장했다. 유기농이 오염을 줄인다는 것도 환상에 불과할 뿐 실제 자료에 따르면 사실과 다르며, 농지면적만 크게 늘려야 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누군가 다른 나라와 한국의 유기농은 전혀 다르다는 걸 증명하지 못하는 한 위의 분석들을 믿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유기농 식재료에 신경 쓰느니 식품을 요리하는 주방용기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현명한 것 아닐까? 이미 이전 글 “안전한 그릇”에서 중국 아기엄마들의 예를 들었듯이, 요리도구도 건강해야 하는 법이다.

안전한 용기

불량 분유 파동을 심하게 겪고 난 후 중국 아기 엄마들은 믿을 수 있는 분유를 찾아 헤맸다. 멜라민이 든 중국 분유를 아기에게 먹일 수는 없어서이다. 덕분에 한국 분유회사들도 덕을 보았다. 모성애는 국경을 아주 쉽게 허물어버리기 때문이다. 어디 모성애뿐이랴. 남편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온갖 올바른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하며 건강한 요리 만들기에 정성을 다 하는 게 주부들이다.

좋은 분유를 찾아 전세계를 다 뒤진 중국엄마들이 그 다음엔 무얼 했을까? 그것은 우유병을 바꾸는 일이었다. 좋은 분유라도 불량한 우유병에 담으면 아기의 건강을 여전히 해칠 수 있다는 사실을 늦게나마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믿을 수 있는 좋은 우유병을 찾아다녔다.

그리고나서 한숨 돌리고자 할 때 또 깨달은 게 있었으니, 그것은 우유병 젖꼭지를 믿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우유의 질이 좋고 우유병이 좋다 해도 아기가 입에 무는 꼭지의 재질이 나쁘다면 앞의 것들이 또 다시 무용지물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분유와 병, 꼭지까지 모든 걸 바꾸고 나서야 비로소 중국 아기엄마들은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

우리는 유기농 식재료에 주의를 기울인다. 내 몸에 들어가는 음식인데 농약이 조금이라도 적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기농 식재료에 기꺼이 프리미엄을 지불하곤 한다. 그러나, 요리하는 주방용기가 불량하다면, 그래서 발암물질이라도 음식 안에 배출한다면 유기농 식재료가 무슨 의미 있겠는가? 분유는 바꿨으되 우유병과 젖꼭지는 바꾸지 않은 것과 무엇이 다르랴? 316 Ti (티타늄)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뉴트라이즈 용기를 보며 엄마들 주부들의 정성과 현명함을 되새겨 보았다.